HI! EveryOne!


  • 03 Aug 2019
    ITEM 19 :: EFFECTIVE C#

    안녕하세요, 19번째 시간입니다. 점점 어려운 개념들이 나오기 시작하는 시점입니다. 이번 챕터는 런타임에 타입을 확인하여 최적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라, 입니다. 이 역시 챕터 3, 제네릭 활용 챕터에 속해있는 내용인데요. 그리 긴 내용은 아니지만 이전 챕터에 대한 지식과, 런타임, 컴파일타임과 같은 전문지식을 어느정도 알고 있어야 이해가 쉬운 내용입니다. 물론 저는 알고 있음에도 이해가... Read more?

  • 02 Aug 2019
    ITEM 18 :: EFFECTIVE C#

    안녕하세요, 18번째 시간입니다. 예전부터 조금 궁금하던 개념이 드디어 나왔군요! 이번 챕터는 제네릭과 템플릿에 관한 내용입니다. 정확한 챕터이름은 3. 제네릭 활용입니다만, 제네릭이라는 것 자체가 C++에서 템플릿만을 써오던 저에게는 생소한 개념이었기 때문에 조금 관심이 있었습니다.(자바에서 제네릭이라는 개념이 자주 사용되더라구요) 각설하고, 이번 내용은 짧지만 중요한, 제네릭과 템플릿의 간단한 차이점까지 해서 설명을 해볼까 합니다.... Read more?

  • 02 Aug 2019
    ITEM 17 :: EFFECTIVE C#

    안녕하세요, 17번째 시간입니다. 알면 알수록 깊어만가는 C#…(먼산) 이번 챕터는 표준 Dispose 패턴을 구현하라, 입니다. 사실, 이렇게만 들어서는 잘 모를 수가 있는데요, 일단은 Dispose하면 생각나는 것이 있을 겁니다. 제 여러 글들을 봐왔다면 말이죠. 바로 IDisposable Interface 입니다. 이는, 적시에 Dispose를 호출하여, GC를 호출하고, 그로인해서 효과적인 메모리 관리를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입니다.... Read more?

  • 01 Aug 2019
    ITEM 16 :: EFFECTIVE C#

    안녕하세요, 16번째 시간입니다. 벌써 한 주가 지나갑니다 하하하! 이번 챕터는 굉장히 간단한 내용이면서 당연한 내용을 짚고 넘어가는 챕터입니다. 사실 이에 해당하는 예외를 발견하기도 어렵지만, 결국 사용하면 좋지 않다라는 걸 알려주는 챕터니까요. 자. 간단하게 빠르게! 설명 생성자 내에서는 절대로 가상 함수를 호출해서는 안된다. 그 이유는 객체가 완전히 생성되기전 가상 함수를 호출하면... Read more?

  • 31 Jul 2019
    ITEM 15 :: EFFECTIVE C#

    안녕하세요, 15번째 시간입니다. 그렇다구요. 이번 챕터는 불필요한 객체를 만들지 말자, 에 대한 내용인데, 그 이유를 몇 가지 풀어서 설명하려 합니다. 표면적으로만 봐도 불필요 객체를 많이 만들게 되면 메모리 효율이 나빠지는 것은 당연하니까요. 설명 책에서는 자주 객체를 생성해 사용할 경우 해당 객체를 멤버변수로 변경하는 방법을 추천하고 있다. 그 이유는 객체를 매번... Read more?